|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은행 등으로 구성된 범정부대응단은 지난달 31일 올해 상반기 새마을금고 1,293곳의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감독당국의 행안부가 전체 새마을금고의 경영실적을 종합해서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은 올해 상반기 내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체율은 지난해 말 3.59%에서 올해 6월 말 5.41%로 올랐다. 특히 새마을금고 여신의 57%를 차지하는 기업대출 쪽 연체율이 5.61%에서 8.34%로 급등했다. 순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8.56%에서 올해 6월 말 8.29%로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에 1,2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낸 영향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6,783억원의 이익을 냈으나 이번에 적자 전환했다.
1300여 개 새마을금고 중 연체율 10%가 넘는 ‘고위험 금고’가 일 년 새 5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 10% 미만이지만 자본적정성 지표가 크게 악화한 금고도 80여 개에 달했다. 전국 1291개 새마을금고의 정기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연체율 10%가 넘는 금고는 109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21개)보다 5배 늘어난 수준이다.
새마을금고 감독 기준에 명시된 경영실태평가기준에 따르면 연체 대출금 비율이 14%를 초과하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된다. 행정안전부는 연체율 10% 이상인 금고를 ‘부실 위험’이 높은 금고로 판단하고 있다. 부실 위험이 높은 금고 109개 중 33개는 서울 지역 소재 금고였다. 이어 △인천 15개 △경기 14개 △부산 13개 △대구 8개 △전북 6개 △충남 5개 △전남 4개 △대전3개 △울산 2개 △경북 2개 △광주 2개 △경남 1개 △충북 1개 순이다.
행안부는 금융위원회와 새마을금고 상반기 영업실적을 발표할 때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금융권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새마을금고의 연체율도 기업대출 중심으로 올라 올해 상반기 건전성 지표가 전년 말 대비 다소 조정됐다”고 밝혔다. 연체율이 소폭 개선됐다고 발표했지만 건전성 지표는 모두 악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자산 건전성을 나타내는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이 악화한 금고 수는 지난해보다 5배 증가했다. 올해 6월 기준 전국 새마을금고 중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이 7%를 넘는 금고는 166개로, 전년 동기(32개)보다 134개 늘었다. 새마을금고 감독기준에 명시된 경영실태평가 기준에 따르면 순고정이하여신비율 7%를 초과하면 ‘취약’ 또는 ‘위험’으로 분류된다.
특히 연체율 10% 미만인 금고 중에서도 ‘부실 위험’에 놓인 곳도 상당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연체율이 10% 미만인 1182곳 중 순자본비율이 ‘취약(4등급)’, ‘위험(5등급)’인 금고는 34곳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연체율이 10% 이상인 109곳 중 순자본비율이 취약하거나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은 금고는 2곳에 불과했다. 자본적정성 지표가 연체율 10% 미만인 곳이 더 심각하다는 의미다.
연체율이 높지 않으면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당국이 최근 연체율 10%를 넘는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합동 특별검사 시행 계획을 밝혔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정부도 ‘연체율’만으로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판단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이에 대한 현장점검 계획은 보류된 상태다.
뉴스와이 newsy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