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모삼천지교 - 맹자
검색 입력폼
칼럼

맹모삼천지교 - 맹자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광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강성률
[뉴스와이] 중국 전국(戰國)시대의 유교사상가인 맹자(孟子, 기원전 372년-289년)는 산둥성 추현 지방 출생으로, 세살 때에 아버지를 잃고 편모슬하에서 성장하였다. 그런데 조숙했던 공자와는 달리 말썽꾸러기여서, 주변 지역의 풍습을 곧잘 흉내 냈다. 그 때문에 그 어머니가 세 번 이사를 다니며 가르쳤다고 하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가 유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열녀전>에 나온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맹자가 어렸을 때, 그 집은 공동묘지 근처에 있었다. 그가 노는 모양을 보니, 무덤을 만들고 발로 달공(땅을 다지면서 부르는, 일종의 노동가요)하는 흉내를 내었으므로 맹자 어머니는 “이곳은 아이를 기를 만한 데가 못된다.”고 하고는 시장 근처로 이사를 하였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물건을 파는 장사꾼의 흉내를 내는 것이었으니, 이에 맹모는 또 “이곳도 아이를 교육할 만한 곳이 못된다.”고 하여 서당(학교) 근처로 이사하였다. 그러자 여기에서는 놀이를 하되, 제기(祭器)를 차려놓고 어른에게 인사하고 양보하는 예절을 다하는지라, 이때에야 맹모는 비로소 마음을 놓고 “이 곳이야말로 참으로 자식을 가르칠 만한 곳이구나.” 하고 그곳에서 살게 되었다.

맹자의 어머니가 모성교육의 사표(師表)로서 후세에 길이 빛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공자가 살았던 춘추시대나 맹자가 생존했던 전국시대는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으로는 큰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이때 제자백가(諸子百家)라 부를 만큼 많은 사상가들이 나왔던 바, 가령 유가 외에도 도가, 묵가, 법가, 병가(兵家) 등이 있었으며, 또한 황당무계하고 괴기 대담한 학설도 여럿 나타났다. 이처럼 잡다한 학설에 대항하여 유가의 이름을 크게 떨친 인물이 바로 맹자였다.

위에서 말한 것 외에도 맹자에 관한 유명한 이야기가 몇 가지 더 있다. 맹자가 어렸을 때, 밖에 나가 놀다가 이웃집에서 돼지 잡는 것을 보고 뛰어 들어가 어머니에게 물었다. “돼지는 왜 잡습니까?” 그 때에 어머니는 무심코 “너를 먹이려고 그런단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맹모는 조금 있다가 크게 후회하여 말하기를, “내 듣건대, 예전에는 태교(胎敎)도 있었다는데, 이 아이가 무엇을 알려고 묻거늘 내가 만일 거짓말을 한다면 이것은 불신(不信)을 가르치는 결과가 된다.” 고 하여 결국 그 돼지고기를 사다 먹였다.

맹자는 곧 학교에 나가 열심히 공부를 하였다. 몇 년 후, 선생님이 그를 불러서 “너는 내게서 배울 것을 다 배웠으니, 이제부터 여기에 나올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이리하여 맹자는 노나라 서울인 곡부(曲阜)로 가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에 들어가 배우기 시작하였다. 맹자는 공자가 태어난 곳에서 6리 밖에 안 되는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일찍이 그를 흠모하며 그와 같은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 얼마 후 맹자는 말 타기를 배우다가 넘어져 팔을 다쳤는데, 마침 어머니와 헤어진 지도 오래 되고 하여 고향으로 갔다.

그때에 맹모는 마침 길쌈을 하다가 “너의 공부가 얼마나 성취되었느냐?”고 물었다. 당황한 맹자는 “어머니를 뵙고 싶어서 집에 다니러 왔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 말을 들은 맹모는 칼을 들고 길쌈하던 것을 끊으며 말하기를, “네가 공부를 하다가 중단하는 것은 마치 내가 이 칼로 여태까지 애써서 짜던 이 길쌈을 끊는 것과 같다.”고 하니 맹자는 크게 깨닫고, 발길을 돌렸다. 그리고 아침저녁으로 부지런히 공부하며 쉴 줄을 몰랐다. 이것을 맹모의 단기지교(斷機之敎)라고 한다.

[약력]
광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철학박사
소설가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한국 산업인력공단 비상임이사
한재골 아카데미 원장
유튜브 채널 '강성률철학티비'
뉴스와이 newsy22@naver.com